심장사상충에 감염된 개에서 Vcheck CRP의 임상 유용성을 다룬 논문이 해외저널 Veterinary world(영향력 지수 2.11)에 발표되었다. (논문 full-version 바로가기) 개 사상충증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모기 매개 질환이며, Dirofilaria immitis, Brugia pahangi를 포함한 여러 종에 의해 발생한다. 감염에 대한 병리학적 반응은 주로 사상충의 라이플사이클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 병원에 내원한 980마리의 개를 바탕으로 미세사상충(microfilaria) 검사가 수행되었으며, 그중 양성 검체는 혈청 단백질 프로파일 분석과 Vcheck CRP 검사가 수행되었다. D. immitis에 단독 감염된 개에서는 CRP 농도가 평균 69.6(13.6-116.9) mg/L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B. pahangi까지 복합 감염된 개체에서는 200 mg/L 이상으로 CRP가 매우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혈청 단백질 프로파일 결과에서 총 단백, β2 글로불린 및 γ 글로불린 수치는 높게, 알부민과 알부민/글로불린 비(A/G ratio)는 낮게 측정되었다. 심장사상충에 감염되면 성충이 폐동맥와 우심실에 기생하여 혈관 내피의 손상과 증식성 심내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 만성 염증으로 인해 CRP 농도의 상승과 고글로불린혈증이 나타난다. 본 평가에서 CRP 검사는 혈청 단백질 프로파일 검사와 함께 사상충 감염증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마커로서 평가되었으며, 특히 심장사상충에 감염된 환자에서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진단 유용도가 높았다. 개의 주요 급성기 단백질인 C-reactive protein(CRP)는 다양한 염증 상황에서 농도가 증가하는 지표로서, 감염증, 종양, 급성 췌장염, 수술 등과 같은 다양한 염증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Vcheck Canine CRP 2.0은 형광면역측정장비인 Vcheck를 이용하여 정량 측정이 가능하며, 적은 양의 검체(혈청 또는 혈장 5 μl)로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측정 범위가 10~200 mg/L으로 넓어 치료 중 반응 모니터링에도 적합하다. 더 알아보기
바이오노트가 함께하는 심장웨비나 시리즈 ‘심장질환 도장깨기’ 1탄 : 고양이 심장질환 웨비나가 17일(목) 저녁 진행됐다.이번 웨비나에서는 VIP동물의료센터 김성수 원장이 연자로 나서 고양이 비대성심근증(HCM, Hypertrophic Cardiomyopathy) 진단평가를 위한 최신 가이드를 소개했다.유럽수의심장협회(ESVC)에 따르면, 전체 고양이의 약 15%가 HCM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HCM은 고양이에게 가장 흔한 심장질환이다.고양이 HCM의 확진은 심장초음파로 이뤄지는데, 최근에는 심장 바이오마커를 HCM 진단평가에 많이 활용하는 추세다. 고양이 HCM 진단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바이오마커는 NT-proBNP다.proBNP는 심실 벽이 부하를 받을 때 이를 완화하기 위해 심장근육 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인데, NT-proBNP는 proBNP의 끝부분(N terminal)에 해당한다. 고양이 HCM은 어린 고양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심장병이 있더라도 뚜렷한 임상 증상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전 연령의 고양이에서 주기적인 HCM 스크리닝 검사가 요구된다.이때 바이오노트 Vcheck Feline NT-proBNP 검사를 활용할 수 있다. Vcheck Feline NT-proBNP는 무증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고, 응급 시에도 사용 가능하며, 정량검사까지 가능하다. 100pmol/L 이상일 경우 심장질환 가능성이 커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심장질환을 최종 진단해야 한다.바이오노트 Vcheck NT-proBNP는 호흡 곤란 등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고양이에서 원인이 심장질환인지 호흡기질환인지 감별할 때도 활용할 수 있다.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고양이가 Vcheck NT-proBNP 스크리닝 검사상 270pmol/L 이하일 경우, 심장질환보다 원발 호흡기 질환일 가능성이 크며, 270pmol/L 이상이라면 울혈성심부전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아 심장초음파 검사가 필요하다.Vcheck NT-proBNP는 HCM 치료 중인 고양이에서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된다.단, NT-proBNP를 HCM의 만능 진단툴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김성수 원장은 “고양이에서 NT-proBNP가 높다고 무조건 HCM이 아니라 심장 외적인 원인에 의해서도 상승할 수 있다”며 “확진을 위해 심장초음파 검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Vcheck Feline NT-proBNP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바이오노트(031-211-0516)에 문의할 수 있다.한편, 바이오노트는 8월경 ‘개 심장질환’을 주제로 심장질환 도장깨기 웨비나 2탄을 진행할 예정이다.출처: https://www.dailyvet.co.kr/news/academy/149306

Vcheck CPV Ab 항체가 검사를 통해 정기적인 예방접종이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보호 면역 형성률을 높인다는 내용의 논문 결과가 발표되었다.- [관련문서] 평가자료 확인하기 개 파보바이러스 감염증은 Canine parvovirus type 2(CPV-2)에 의해 발생하는 전신 질환이며, 식욕부진, 구토, 설사 등의 임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주기적인 예방 접종이며, WSAVA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기초 접종 후, 주기적으로 보강 접종을 하는 것이 추천된다. 평가 대상이 되는 폴란드 동부의 성견은 접종 이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으며, 바이오노트 사의 V200 장비를 사용하여 CPV에 대한 항체가 검사가 수행되었다. - 그룹 I (N=59): WSAVA 가이드라인에 따라 정기적으로 백신을 접종한 개체- 그룹 II (N=77): 기초접종은 하였으나 지난 3년 동안 추가 접종을 받지 않은 개체- 그룹 III (N=64): 예방접종을 한 번도 받지 않은 개체 항체가 검사 결과, HI ≥ 80(Titer 3 이상)으로 CPV에 대한 면역기능이 형성되어 있는 개체수는 그룹 I(86%)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그룹 II(73%), 그룹 III(72%) 대비 유의하게 높았다(각 p = 0.0006, p = 0.0001). 표 1. 백신 접종이력에 따른 그룹별 CPV 항체가 결과, 개체수(비율%) 또한, 품종(순종, 믹스) 또는 성별(수컷, 암컷)에 따른 CPV에 대한 항체가의 결과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룹 I과 같이 WSAVA 가이드라인이 권고하는 사항에 따라 기초 접종 후 주기적으로 보강 접종을 하는 경우에 바이러스에 대한 가장 높은 면역능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그룹 III에서 높은 항체가 결과는 평가 지역에서 해당 병원체로 광범위하게 오염되었음을 나타내며,항체가 검사를 통해 지역에 따른 유행병성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바이오노트의 형광면역측정장비 Vcheck은 개 항체가 3종(CPV, CDV, CAV Ab), 고양이 항체가 3종(FPV, FCV, FHV Ab) 검사가 가능하며,반정량 수치로 확인할 수 있어 주요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